|
|
선거철이라 연방 의회 내 현직 정치인들의 러브콜이 잦다. 특히 올해에 유난히 더한 이유는 양당이 치열하게 경쟁을 하고 있고, 더구나 2007년 일본군위안부결의안 통과 이후에 연방의회를 상대하는 한국계 미국인들의 집단적인 접촉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선거를 치러야 할 현직 의원들은 지역구의 한인 유권자들을 의식한 측면도 없지 않지만 관심은 ‘선거자금’이다. 어떤 의원은 갑자기 뉴욕의 한인커뮤니티를 방문하겠다는 연락을 보내기도 한다. 보내온 이메일은 ‘ 독도문제와 한미동맹관계 문제를 갖고서 찾아왔던 너를 기억한다. 언제 뉴욕을 방문하니까 만나자’ 란 내용이다. 미국의 현직 의원을 만나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필자만큼 절실하게 체험한 사람이 있을까? 의원은 다음에도 의원이고 우리에겐 연방의원을 상대할 현안이 첩첩이 쌓여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요즘엔 의원으로 부터의 접촉을 오히려 피해야 할 상황이 되었다. < 이러한 상황을 꿈에도 예측하지 못한 필자는 지난 만5년 동안 정말로 용감하게 워싱턴의 의회를 찾아 다녔다. 한인사회의 현안과 입장을 의원들에게 반복해서 들이 밀었다. 언제는 뉴욕의 동포들을 대형버스에 태우고 몇 십 명씩 단체로 의사당을 방문해서 의원을 닦달하기도 했다. 그냥 그렇게 하면 되는 줄 알고 그것이 시민의 정당한 권리라고 배웠기 때문이다. > 뉴욕이 지역구가 아님에도 선거철에 뉴욕을 방문 하겠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는 삼척동자도 알만한 일이다. 모금을 해 달라는 것이다. 어느 의원은 본인이 차기 어느 상임위의 수장이 된다고, 그래서 분쟁지역 출신의 이민 그룹들이 서로 만나자고 경쟁한다는 것을 은근히 알려주기도 한다. 아시안계를 책임지는 어느 연방의원은 뉴욕의 중국. 인도 커뮤니티의 초청으로 맨해튼을 방문하게 되었다고 연락을 해 왔다. 선거철의 모금에 대해선 반드시 보답하는 연방급 의원들의 불문율이 있으며 선거전의 모금은 선거후의 모금에 비해서 5배의 효과를 낸다. 그러한 상황에서 (지금)모금요청을 해 오는 의원들의 접촉은 우리로서는 분명히 러브콜인데 감당해야 할 필자로서는 피하고 싶은 콜이다. 미국서의 선거운동은 청중을 동원한 유세가 아니다. 시민들을 향해서 후보자가 정책을 내 놓고 그것에 돈을 내라는 것이다. 그러한 방식으로 선거일전까지 누가 돈을 많이 모으는가의 경쟁이다. 표수는 액수에 비례해서 그렇게 당선이 확정된다. 돈 많은 사람이나 기업이 무제한으로 기부하는 돈을 정치용어로 '소프트머니(soft money)'라고 하는데 2004년 이것을 금지하는 법이 제정되었다. 그래서 지금은 정치인들이 소액다수의 모금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다. 모금 액수만큼 지지를 받는다는 것이 틀린 말이 아니다. 정치인들이 일반 시민들 속으로 파고들어야 하기 때문에, 그래서 지금을 풀뿌리 정치참여의 시대라고 한다. 아무리 유권자라 해도 현안을 위해서는 모금이 필수이다. 세상에 공짜는 없고 그냥 되는 일은 없다는 것이다. 인간의 보편적인 절대가치에 관한 일이라도, 명분이 뚜렷한 역사적인 일이라 해도 주체의 의지가 없으면 안 된다는 정치작동 논리이다. 시민들이 거기에 순응해서 선거철의 선거자금 모금을 자연스럽게 받아 들였다. 한인 중에 어느 사람이 버럭 화를 내면서 ‘ 세금을 냈는데 왜, 또 돈을 내는가?’라고 오히려 필자에게 정신을 차리라고 가르침을 주지만 우리가 사랑하고 자랑하는 미국의 시민사회가 그렇게 작동되고 있다. 정치인을 위한 한인들의 기부행위가 늘고 있어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전국적인 통계를 보면 결코 적은 액수가 아니다. 지역적으론 역시 캘리포니아가 가장 많다. 기부자의 개개인을 살펴보면 한국계의 숫자가 적지 않지만 그것이 정치적인 힘으로 잘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한인들끼리 집단적으로 그리고 전략적으로 기부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개의 한인들은 이유 없이 개별적으로 그리고 심정적(안정을 위한)으로 기부를 하는 경향이 있다. 유태계나 쿠바인들을 예로 들지 않더라도 인도계나 중국계들도 정치인들을 위해서 단체로 모아서 기부를 하고 있으며 또한 특정한 현안을 정확하게 요구하면서 돈을 모아준다. 예를 들어서, 2009년도 한인들로부터 가장 많은 액수의 돈을 받은 연방급 정치인은 캘리포니아 제32지역구의 중국계 초선의원인 ‘주디 추(Judy Chu)’의원이다. 그런데 이 의원을 직접 만났을 때의 대화를 통해선 한인커뮤니티에 대해서 너무나 모르고 있었다. 게다가 지금, 그냥 침묵을 해도 반대의사라고 여기는 한미 간 FTA에 대해서 가장 용감하게 공개적으로 반대를 하고 있기도 하다. |